의사들의 파업으로 전국 대학병원과 동네 병원까지 파업이 번지려는 상황입니다. 의협은 동네에 개원한 병원도 휴진에 참여하라고 설득하기 위해 스마트플레이스 휴진 설정 방법까지 공유했습니다.
지금부터 의사들의 파업 이유와 명단, 우리 동네 병원 파업 여부 확인 방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의사 파업 이유
의사들의 파업 이유는 이미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정부가 의대 정원을 늘린다고 발표하고 난 뒤 의협과의 갈등이 시작됐습니다.
결국 의대 정원 증가를 막기 위해 의사들이 파업에 나선 것인데요. 의협은 국민과 환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지만 국민과 환자 입장에서는 이게 과연 우리를 위한게 맞는 것인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의협은 18일 집단휴진을 발표했고 정부도 이에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동네 병원 파업 여부 확인
우리 동네 병원도 파업하는지 궁금하시죠? 지금 바로 확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의협은 동네 병원 파업 독려를 위해 아래 페이지에서 휴진을 설정하라고 공지를 했습니다.
따라서 아래 페이지에서 내가 가고자하는 병원을 검색해 휴진 설정이 되어있지 않다면 운영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혹시 모르니 안내되어있는 연락처로 전화 문의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다른나라 의사 파업 사례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최근 30년간 총 36건의 의사 파업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가리지 않고 발생했고, 기간도 최장 118일까지 다양하게 일어났습니다.
의사 파업의 주된 원인은 주로 보수와 관련된 내용이었고, 보건의료예산 삭감이나 근무환경 열악 등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최근 36건의 의사 파업 사례 중 총 32건(약 88%)이 의사들의 요구 조건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며 마무리 됐었습니다.
결론
이상으로 전공의, 의사 및 병원의 파업 이유와 명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의사분들의 불합리함이 객관적으로 모두가 인정한다면 분명 해결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러한 문제가 아니라 집단 이기주의로 번지지 않았으면 좋겠고, 무엇보다 전국 환자 분들의 생명이 위태롭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